칭찬과 비판에 대한 오해와 편견
평가를 받으면서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타기도 하고, 스스로를 평가하면서 윤리적 딜레마에 직면하는 일도 겪으면서, 나는 수년 동안 사람을 평가하는 문제와 씨름했다. 그 과정에서 나는 평가를 하고 평가를 받는 최선의 방법을 찾기로 하고, 사회과학 문헌을 조사하거나 그것으로 부족한 경우 직접 실험을 수행하기도 했다. 정리해서 말하자면 나는 다음 물음들의 답을 구하고자 했다. 1) 타인을 평가하는 일을 피할 수 있을까? 2) 칭찬과 비판은 꼭 반대되는 의미일까? 그 이상의 의미는 없을까? 3) 어떻게 하면 가장 효과적으로 칭찬하고 비판할 수 있을까? 4) 내가 타인(또는 자기 자신)을 평가하는 것이 타인이 나를 평가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까?
참고로 좋고 나쁨을 가리는 것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판단이자 부지불식간에 일어나는 일이다. 먼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보면 생과 사의 갈림길에서 사람을 좋고 나쁨으로 구분할 수밖에 없기 때문인지 모른다. 그래서 우리는 본능적으로 긍정이나 부정의 판단을 내리게 된다. 이 점에 착안하여 과학자들은 뇌의 중심에 위치한 시상을 연구하여 평가의 유인을 추적했다. 뇌간 바로 위에 위치한 시상은 뇌의 모든 고차원적 활동에 관여한다. 예로 누군가를 마주하면 정식 사고 프로세스에 정보가 전달되기 전에 먼저 뇌의 시상에서 기초적 판단을 한다.
가령 상대방이 우리를 향해 웃고 있거나, 아니면 소리를 칠 때, 우리 뇌의 시상에서 이런 정서적 유의성(Valence,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사람이나 사물을 인식하는 기준)을 긍정 혹은 부정으로 해석하여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기도 전에 몸이 먼저 반응을 보인다. 그리고 시상에서 긍정이나 부정의 판단을 하면, 그 신호가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어 상대방에게 접근할지 회피할지 활동을 준비한다. 이어서 시상에서 내린 긍정이나 부정의 해석이 뇌의 고차원적 영역에 전달된다.
시상의 반응은 대개 단순하고 무의식적이다. 그래서 시상에서 평가의 유의성을 인식하지 못하면(가령, 누군가가 시치미를 떼고 말할 때) 그 정보가 한층 고차원적인 두뇌 영역에 전달되고, 신체 반응을 이끄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런 고차원의 프로세스에서 상대방의 말을 해석하여 긍정이나 부정의 판단(칭찬이나 지적을 인식)을 하고, 이런 정보는 다시 시상에 전달되어 연이은 신체의 반응을 이끈다. 그런데 타인과 마주치는 것을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인간의 타고난 본성 탓에 우리는 거의 모든 사람들을 칭찬하거나 비판하면서 살아간다.
<“관계의 본심”에서 극히 일부 요약 발췌,클리포드 나스, 코리나 옌 지음,역자 방영호님, 푸른숲>
▣ 저자
클리포드 나스: 현재 스탠퍼드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고, CHIMe(Humans and Interactive Media) 연구소 소장이다. 프린스턴 대학교 수학과를 우등으로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IBM에서 컴퓨터 그래픽, 데이터 구조, 데이터 디자인 관련 분야를 연구했다. CASA(Computers Are Social Actors) 패러다임 연구의 권위자이며, 산업 컨설턴트로서 마이크로소프트, 토요타, 필립스, BMW, 휴렛팩커드, AOL, 소니, 델 등의 기업에 자문활동을 해왔다. 저서로는 『The Media Equation』, 『Wired for Speech』가 있다.
코리나 옌: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했으며, 학내 디자인 저널 《Ambidextrous》의 편집장으로 활동했다. 현재 베이 에어리어에 거주하며 디자인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오가피열매
'독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명한 걱정이란 무엇인가? (0) | 2011.10.06 |
---|---|
침묵, 결정적인 성공 비결 (0) | 2011.10.06 |
모든 사람을 죽이는 뱀 (0) | 2011.10.06 |
쓸데없는 걱정, 지옥이 따로 없다 (0) | 2011.10.06 |
상대방의 생각을 읽어라 (0) | 2011.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