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사과나무재배-사과 탄저병의 발생 생태 및 방제 사과 탄저병(炭疽病)은 병원성 곰팡이균인 Colletotrichum gloeosporioedes(완전세대 : Glomerella cingulata)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다. 영명으로는 bitter rot이라고 하는데 과육이 썩은 조직을 먹어보면 쓴 맛이 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었다. 일본명으로는 タンソ(단소)病이라 하는데 예전에 농.. 유실수와 약초 자료 2012.12.18
[스크랩] 사과나무재배-사과나무의 정지와 전정기술 1. 정지전정과 관련되는 기초이론 가. 적정 엽면적지수(LAI) 한 개의 사과를 키우는데는 40~60매의 잎이 필요하므로 많은 수의 열매를 키우기 위해서는 많은 잎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정한 공간내에 잎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그늘을 많이 받는 잎수가 늘어나게 되고 사과에도 햇빛이 충분하게.. 유실수와 약초 자료 2012.12.18
사과,감 재배 정보 이사람 / 고당도 칼슘사과 생산 ‘각광’ 경북 영덕 이기원씨 이기원씨가 자신이 재배한 고당도 칼슘사과를 보여 주고 있다. 대게 산지로 이름난 경북 영덕군 강구면에서 30년째 사과농사를 짓는 이기원씨(59·금호리). 체험농장은 아니지만 이씨의 농장에는 한해에 1,000여명의 사과재배 .. 유실수와 약초 자료 2012.01.27
마 종류! ♠식물명=(참)마(Dioscorea batatas) 다른이름 개산우(山芋), 서여(薯囊) 분 류 외떡잎식물 백합목 마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크 기 높이 30∼80cm 꽃 개화기 : 6 - 7월 꽃차례 : 수상꽃차례 자라는곳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타이완 등지에 분포하며 약초로 재배하고 산지에.. 유실수와 약초 자료 2012.01.26
젊은 부농(富農)꿈 "농업에 미래가 없다고요? 희망이 없었으면 애초에 시작도 안 했을 겁니다. 농사꾼은 옛말, 농민은 이제 `농업 경영인`이고 농장은 `농업 기업`입니다. 더 많은 젊은 농부들과 힘을 모아 농촌을 새롭게 바꾸고 싶습니다." 최근 경북 안동시 풍천면에서 만난 농업인 유화성 씨(28). 흙이 잔뜩 묻은 작업복 .. 유실수와 약초 자료 2011.04.24
블랙초크베리 블랙초크베리: 아로니아(Aronia)의 재배 이론과 실제(인용) 블랙쵸크베리(아로니아)의 3가지 종류 1.블랙초크베리 : Aronia melanocarpa (Michx.) Elliott (영) Aronia, Black chokeberry 2.레드초크베리 : Aronia arbutifolia (L.) Pers. (영) Aronia, Red chokeberry 3.퍼플초크베리 : Aronia prunifolia (영) Purple Chokeberry 아로니아는 사과와 같은 .. 유실수와 약초 자료 2011.04.10
기둥식 작물 공간재배법(인용) 원통에 구멍 뚫고 씨앗 직파 … 공간 활용도 10배 화제 / 기둥식 작물 공간 재배법 개발한 강혁씨 일반적인 농사 개념을 깬 `입체식(기둥식) 작물 공간재배법”이 등장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재배법을 개발한 사람은 경남 통영시 광도면의 녹색혁명코퍼레이션 강혁 대표. 강대표가 개발한 이 입체식 .. 유실수와 약초 자료 2011.01.26
단감나무 동해! <언 피해를 입어 죽은 단감 꽃눈.> 단감나무 언 피해 주의해야! 지난해 서리 피해를 입었던 단감 농가는 올겨울 동해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수확기(10월 말)에 서리 피해를 받아 잎이 일찍 떨어진 과원에서는 꽃눈에 언 피해까지 받을 경우 싹이 아예 트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언 피.. 유실수와 약초 자료 2011.01.24
사과 전정! <꽃눈과 잎눈을 반으로 가른 모습. 눈을 무작위로 100여개 골라 확인하고 꽃눈의 비율이 70% 미만이라면 전정시 결과지를 30% 이상 더 남긴다.> 사과 전정때 ‘꽃눈분화율’ 먼저 확인을 농진청, 꽃눈비율 70%미만이면 결과지 30%이상 남겨야 농촌진흥청은 사과나무의 겨울 가지치기를 하기 전 꽃눈분.. 유실수와 약초 자료 2011.01.24
유기농 배농가(인용) 유기농업 길라잡이 (16)충남 아산 유기농 배농가 김경석씨 “다양한 잡초 키워 거름으로 사용” “저는 배나무에 따로 거름을 주지 않습니다. 거름기가 부족해야 뿌리가 양분을 찾아 더욱 멀리 뻗어 나가기 때문입니다.” 충남 아산에서 유기농배를 재배하는 김경석씨(52·둔포면 신왕리)가 밝힌 기술.. 유실수와 약초 자료 2010.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