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 맡겨 되는 대로 내버려두어라
말은 발굽으로 서리와 눈을 밟고, 털로는 바람과 추위를 막고 있다. 풀을 뜯고 물을 마시며 발을 높이 들고 날뛴다. 이것이 말의 참된 본성이다. 비록 높은 누대와 궁궐이 있다 해도 말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다.(馬蹄可以踐霜雪 ,毛可以禦風寒 ,(齕흘)草飮水,翹(교)足而陸, 此馬之眞性也. 雖有義臺路寢無所用之)
백락이 말을 잘 다스린다면서 말에게 낙인을 찍고, 털을 깎고, 발굽을 다듬고, 굴레를 씌우고, 고삐와 띠를 맨 다음 구유가 딸린 마구간을 짓고 넣어두었다. 그러자 말 중에 죽는 놈이 열 마리 중에 두세 마리가 나왔다. 거기에다 말을 굶주리게 하고, 목마르게 하고, 너무 뛰게도 하고, 갑자기 달리게도 하며, 여러 가지 장식을 붙여 보기 좋게 꾸며 주었다. 말의 앞에는 거추장스러운 재갈과 머리장식이 있게 되었고, 뒤에는 채찍의 위협이 존재하게 되었다. 그러자 죽는 말이 반도 넘게 되었다.
옹기장이는 찰흙을 잘 다룬다고 하면서 둥근 것은 그림쇠에 맞추고, 모난 것은 굽은 자에다 맞춘다. 목수는 나무를 잘 다룬다면서 굽은 것은 갈고리에다 맞추고 곧은 것은 먹줄을 따라 자른다. 그러나 찰흙과 나무의 성질이 어찌 그림쇠나 굽은 자와 갈고리나 먹줄에 맞추려 들겠는가? 그런데도 세상에서는 대대로 백락은 말을 잘 다스리고, 옹기장이와 목수는 찰흙과 나무를 잘 다룬다고 불리고 있다. 이것도 역시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들의 잘못인 것이다.
내가 생각하는 천하를 잘 다스리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
백성들에게는 일정한 본성이 있다. 길쌈을 해서 옷을 지어 입고, 농사를 지어 밥을 먹는데 이것을 다 같이 타고난 성질이라고 한다. 하나가 되어 치우치지 않는 것을 하늘에 맡겨 되는 대로 두는 것이라 말한다.
본성대로 소박하게 자연 속에 살아야 한다
최상의 덕으로 다스려지는 세상에서는 백성들의 행동이 신중하고 그들의 눈길은 한결같다. 그 때는 산에 오솔길도 없었고, 물 위에 배도 다리도 없었다. 만물이 무리를 이루어 살았고, 그들이 사는 고장 이웃하고만 접촉을 했다. 새와 짐승이 무리를 이루었었고, 풀과 나무는 제대로 자랐었다. 새와 짐승들을 끈으로 매어 끌고 다니며 놀 수가 없었고, 새의 둥지를 기어올라가 들여다 볼 수도 없었다.
지극한 덕으로 다스려지던 세상에서는 새나 짐승이 함께 어울려 살았었고, 만물이 무리를 이루어 다 같이 살았었다. 그러니 어떻게 군자와 소인이 있음을 알았겠는가? 다 같이 무지하여 그의 타고난 성질을 떠나지 않았었다. 다 같이 욕망이 없었는데 이것을 소박함이라 말한다. 소박함으로써 백성들의 본성은 보전되는 것이다.(夫至德之世, 同與禽獸居,族與萬物竝, 惡乎知君子小人哉! 同乎无知 其德不離 同乎无欲,是謂素樸,素樸而民性得矣)
성인이 나와 애써 인(仁)을 행하고, 힘써 의(義)를 행하게 되자, 사람들은 비로소 의심을 하게 되었다. 도에서 벗어난 음악을 작곡하고, 번거로운 예의를 제정하게 되자 세상 사람들이 비로소 분열하게 되었다.
나무의 순박함을 해치지 않고 어떻게 소머리를 조각한 술잔을 만들 수 있겠는가? 백옥을 쪼지 않고 어떻게 옥으로 된 그릇을 만들 수 있겠는가?(故純樸不殘, 孰爲犧木奠! 自玉不毁 孰爲珪璋!)
도와 덕이 무너지지 않았다면 어찌 인의를 주장하겠는가? 본성과 진실함에서 떠나지 않았다면 어찌 예의와 음악을 쓸 필요가 있겠는가? 다섯 가지 빛깔이 어지러워지지 않았다면 누가 무늬와 채색을 만들었겠는가? 다섯 가지 소리가 어지러워지지 않았다면 누가 육률(六律)을 만들었겠는가?
소박함을 훼손하여 기구를 만드는 것은 공인의 죄이다. 도덕을 무너뜨리고 인의를 내세우는 것은 성인의 잘못이다.(夫殘樸以爲器, 工匠之罪也, 毁道德以爲仁義,聖人之過也)
에어컨, 고급차, 냉장고, 화려한 레온불빛, 주택 등에 푹 빠져 허우적거리는 현대인에게 장자의 마제편은 심금을 울리는 글이다. 물론 위정자에게 향하는 부분도 있지만 개인적으로도 귀감을 삼을 부분이 많은 글이다.
지금까지 편리함보다 과잉의 범위에서 인간이 본성과 자연을 파괴 하며 너무 물질문명에 사로잡혀 살아가고 있지 않은지 한번쯤 되새겨볼 만한 글이다. -중산-
<“장자(외편) ; 제9편 馬蹄”에서 일부요약 발췌>
'독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응과 체념!(인용) (0) | 2011.03.22 |
---|---|
행복하게 잘 살기 위해! (0) | 2011.03.21 |
양심의 가책! (0) | 2011.03.15 |
좋음과 나쁨! (0) | 2011.03.15 |
노동자와 기계 사이! (0) | 2011.03.15 |